Artists

홍영숙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상록수갤러리
댓글 0건 조회 12회 작성일 25-04-09 11:45

본문

작가명 홍영숙

작품설명

홍영숙 작가

학력
2004 : 컴퓨터 그래픽 & 인터렉티브 미디아 석사, 프랫 인스티튜드, 뉴욕, 미국
1996 : 뉴욕 스튜디오 스쿨 참여, 뉴욕, 미국
1995 : 버몬트 스튜디오 센터 참여, 버몬트, 미국
1993 : 브룩클린 칼리지 파인 아트 전공(Painting)석사, 뉴욕, 미국
1990 : U.C.L.A 파인 아트 전공(Painting) 학사, 캘리포니아, 미국
1985 : 덕성 여자 대학교 2년 수료, 서울, 한국

< 개인전 >

2024 : 홍영숙 초대전 <살어리 살어리랏다>
갤러리 내일, 서울
전혁림 미술관 초대전, 통영, 경상남도
2023 : 홍영숙 초대전 <쉬멍 놀멍>, 갤러리 내일, 서울
2022 : 홍영숙 초대전 <해원(解寃) : 그대 안녕하신가요?>, 갤러리 내일, 서울
2021 : 홍영숙 초대전 <변형 : 물, 불, 바람의 형상 - 내면의 소리>, 아트스페이스 퀄리아, 서울
2020 : 홍영숙 초대전 <변형 : 물, 불, 바람의 형상 (Get Out Covid 19>), 갤러리 내일, 서울
2018 : 홍영숙 초대전 < 추상하라>, 대안공간 눈 & 봄 수원

< 단체전 >

2019 : ‘ Never Ending Story ‘, JSA Gallery, 뉴욕, 미국
무경계 아트 3년 프로젝트, 수원
2016 : 비평 페스티발, 동덕 갤러리, 서울
2004 : Pratt Institute, CGIM (http://www.5performingspace.net)
1999 : Nabi Gallery Summer Group Shaw, Sag Harbor, NY
Art Society New London Gallery, CT.
1995 : Sixth Annual Juried Painting Exhibition, NY, NY
1994 : New Vision: Asian-American Artists, One MetroTech Center, Brooklyn.
August Selections, Gallery Juno, NY, NY
Group Show, Gallery Morning Calm, NY, NY
Annual MFA Alumni Exhibition, Brooklyn College Art Gallery, NY
1993 : MFA Show, LaGuardia Hall Art Gallery, Brooklyn College, Brooklyn, NY

< 수상경력 >

2023 : 제 9회 전혁림 미술상 수상
1993 : Charles G. Memorial Shaw Award from Brooklyn College, Brooklyn, NY
1992 : Charles G. Memorial Shaw Award from Brooklyn College, Brooklyn, NY

< 작가 노트 >

나는 어린 시절부터 자유롭게 좋아하는 그림을 그리고 싶었습니다. 사회적인, 국가적인 영향보다는 나 스스로 의지대로 작품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이러한 생각은 색채를 통해 내면을 그대로 반영하면서 어떻게 하면 내 생각을 잘 나타낼 수 있는지,표현하는 지에 대한 생각에 몰입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이기적인 자신에 대한 한계적인 방법일 수 있지만, 20대 초반부터 기댈 수 없는 어려운 타국 생활은 경험이 모든 것이었습니다.

이는 내가 보고 느낀 것이며, 경험은 작가로서 가질 수 있는 소양으로 자신감을 얻었습니다.
199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생각은 뉴욕은 여러 생각을 받아들일 수 있는 환경이었지만, “원 형상의 눈물방울”은 암울했던 내 자신의 유학생활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당시 뉴욕에서 만났던 영국계 지도교수 John Walker등 비롯한 수많은 작가들의 조형언어를 직접적으로 체험해 보았지만, 지금의 나는 한국이라는 곳에서 습득하고 체험하였던 내가 만들고 싶었던, 말하고 싶었던 언어를 한계적인 문화 환경 아래, 나만의 방법으로 새롭게 조형화하는 길을 걷고자 합니다.

 <평론>
 내면의 소리, 정신에 봉사하는 자유함
                                        김찬동(전 수원시립미술관장)

필자는 언젠가 원색과 강렬한 필치를 가진 홍영숙의 작업을 생명력과 주체할 수 없는 에너지의 분출로 읽은 적이 있다. 유화와 템페라 기법을 주로 사용하되, 톱밥을 섞어 화면을 부조적(浮彫的) 상태로 드러내거나, 화면 밖으로 형상을 돌출시켜 캔버스를 하나의 오브제로 확장시키기도 한다. 화면은 구체적인 형상을 드러내지 않지만 대상의 조형적 본질을 탐구해 들어가거나, 작가만의 상징적 형태로 화면을 구성하는 서구적 개념의 추상과는 개념이 다르다. 양자는 모두 구체적 대상들로부터 비롯된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그녀의 작업은 일상에서 불현듯 느끼는 비대상적 감성의 표상화라고 하는 편이 옳을 것이다. 그렇다고 무의식의 세계를 드러내는 자동기술기법과는 다르다.

뒤샹은 '다시 한 번 정신(spirit)에 봉사하는 미술'을 추구하고 싶다고 말하면서, 망막(retina)에 의존하는 서구 미술의 전통을 거부했다. 그런 연유로 피카소나 브라크의 입체파를 중시하지 않았고, 망막적 미술의 가장 커다란 책임을 꾸르베에 두고 그의 <세상의 근원(L'Origine du monde)>에서 보여주는 그 사실적 표현의 적나라함을 비판했던 기억이 있다.

홍영숙은 화단에 잘 알려져 있는 작가는 아니지만, 중진의 그녀는 대학 재학중 유학을 떠났고 귀국 후에도 작품 발표 없이 오랫동안 칩거하며 자신의 세계에만 몰두해온 조금은 독특한 작가라 할 수 있다. 최근 몇 차례의 그녀의 작은 전시를 볼 기회를 가지면서, 그녀가 내면에 주체할 수 없는 에너지를 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창시절 사회비판적 사유와 함께 최욱경으로부터의 조형적 세례를 받은 그녀는, 미국 유학시절 역시 서구미술의 관습으로부터 자유로운 풍토에서 수업하였다. 그녀의 작품엔 한동안 현실의 부조리와 모순에 대한 분노의 에너지가 과잉되게 분출된 적이 있었다. 최근 그녀의 에너지는 건강한 생명의 에너지, 삶의 에너지로 나름 정제되어 있다.  일상으로부터 모티브를 얻지만 사랑의 힘과 생명을 노래한다. 붉은 색과 푸른색을 주조로 한 강렬한 원색의 대비와 유동적인 선의 율동과 때론 급한 필획의 회전이 적절히 구사된다.

이번 전시는 이러한 그녀의 근작들을 선보인다. <뜨거워지기 전...> <뒤집어지는 태극> <사랑의 노래> 등은 제목이 시사하듯 사회적 현실의 모순을 바라보는 그녀의 입장이 상징화되어 있는듯하지만, 격렬한 투쟁이나 혁명의 외침보다는 우주나 역사의 섭리를 통해 관망하거나, 해학으로 상황을 해석하고자 하는 내면의 외침이 표출되고 있다. 태극은 음과 양이 끝없이 변화하는 우주의 원리이며, 거시와 미시의 세계 속에 어디나 편만해 있는 비가시적이지만 실재적 존재인데, 뒤집어짐 속에는 많은 중의적 상황들이 내포되어 있다. <不許看畵>는 해학의 압권이다. ‘그림보는 것을 허락지 않고 쥐를 쫒아내다.’는 문자적 의미를 가지는데, 실제 작업실에 들어온 쥐를 쫒아낸 것일 수도 있지만, 자신의 그림을 볼 줄 모르는 사람들에게 보여주지 않겠다는, 더 나아가서는 자신의 창작활동이 직면하는 화단이나 미술계의 제도적,자본주의적 문화권력에 대응하는 태도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녀의 작업이 내포하고 있는 화두는 흥미롭고 유의미하다. 그러나 필자가 더 관심을 가지는 것은 그녀가 작업을 통해 스스로 좀 더 자유를 얻으며 정신에 봉사하는 작업을 펼쳐가고 있다는 점이다. 과수원의 농부들은 과목에 꽃이 피어야 열매를 딸 수 있다는 것을 알고있지만, 꽃이 피는 것을 ‘꽃이 온다’고 한단다. 자신의 노력에 의해 꽃이 피는 것이 아니라 그 누군가가 꽃을 보내는 것으로 이해한다는 것이다. 그녀의 과목에도 꽃이 찾아오기를 기대한다.